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책

2025 기초생활수급·차상위계층 생계급여 신청방법·기준·금액

by 시그널헌터 2025. 8. 13.
반응형

기초생활수급·차상위계층 생계급여 한눈에 정리하기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모두 대한민국의 중요한 복지 대상인데요. 특히 생계급여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안정을 위한 급여여서 더 궁금하게 느껴집니다. “내 기준은 어떻게 될까?”, “얼마를 받는 걸까?”라고 생각되신다면, 이 글이 딱 맞아요. 기초생활수급과 차상위계층의 정의부터, 생계급여 자격과 계산법까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생계급여

생계급여란?

생계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핵심 중 하나로, 생활이 어려운 국민에게 최저 생계를 국가가 보장해 주는 금전 지원입니다. 지급액은 “생계급여 선정 기준액소득인정액”으로 계산됩니다. 소득인정액에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합산되며, 가구의 실질 상황을 종합 고려합니다. 

자격기준과 중위소득

생계급여 자격은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일 경우 해당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4인 가구 기준 이 액수는 월 1,951,287원입니다. 

계산법과 2025년 기준

계산법과 2025년 기준

가구 유형 2025년 기준 중위소득 32%
                                               1인 가구                                765,444원
                                               2인 가구                              1,258,451원
                                              3인 가구                              1,608,113원
                                             4인 가구                             1,951,287원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매달 100만원이라면, “1,951,287원 – 1,000,000원 = 951,287원”을 생계급여로 받을 수 있습니다. 

👉복지서비스>모의계산 |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bz/mkclAsis/mkclPage.do?utm_source=chatgpt.com

 

www.bokjiro.go.kr

 

차상위계층과의 차이

  •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을 포괄적·직접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계층입니다. 
  • 차상위계층은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이나, 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며, 의료비 경감, 공공요금 할인, 교육·돌봄 등의 개별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 요약

신청 절차 요약

 

기초생활보장 > 기초생활보장 신청하기 > 급여 신청절차 > 수급자 신청하기 (본문) | 찾기쉬운 생

기초생활보장급여, 기초생활보장신청, 수급자선정

www.easylaw.go.kr

 

Q&A

Q1) 생계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A1) “생계급여 대상 기준액 – 소득인정액”으로 계산됩니다. 4인 가구 기준 최대 월 1,951,287원을 받을 수 있고, 실제 지급액은 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Q2) 차상위계층도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A2) 아니요. 차상위계층은 생계급여 대상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의료비 감면, 공공요금 할인 등 개별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소득인정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A3) 소득평가액(소득 – 공제 등) +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계산됩니다. 공제 항목도 다양하기 때문에 복지로 등에서 모의계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Q4) 생계급여는 언제 지급되나요?
A4) 매월 20일경, 수급자 명의 계좌로 현금 지급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정기적으로 입금됩니다. 
Q5) 부양의무자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5) 2025년부터는 부양의무자의 연소득 1.3억 원 또는 재산 12억 원 초과 시 수급에서 제외됩니다. 기준이 완화되어 수급자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치며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생계급여는 모두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분들에게 꼭 필요한 안전망**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직접적인 생계비 지원을, 차상위계층은 의료, 요금, 교육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원을 받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기준이 완화되고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인이 대상이 되는지 모의계산을 해보고, 확인이 필요하신 경우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해보세요. 빠짐없이 꼭 챙기셔서, 더 든든한 생활 안전망을 마련하시길 응원합니다.

💡 생계급여에 해당한다면 꼭 신청하시고, 차상위계층도 다양한 혜택이 준비되어 있으니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반응형